전체 글 5

사회적경제 종사자들은 얼마나 벌까?

현장에서 사회적경제 종사자들을 만나보면, 사회적기업에 대한 인식 자체가 국내와 해외가 크게 차이가 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사회적경제에 속하는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등의 단체들은 상대적으로 선호하지 않는 직업이고 대기업에서도 CSR부서는 한직으로 평가됩니다. 하지만 해외에서 사회적경제에 속하는 단체들에서 근무하는 건 매우 자부심 높은 직업이고 해외 유수의 대학을 나온 인재들이 경쟁해서 들어가는 곳입니다. 그럼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현실적인 이유인 연봉을 기준으로 왜 이런 인식차이가 발생하는지 국내의 연봉을 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비교군을 설정하기 위해 해외의 성공적인 사회적경제 조직으로 평가받는 몬드라곤 협동조합의 임금을 살펴보겠습니다. ..

사회적경제 2022.03.07

자발적 결사체와 사회적경제와의 관계

안녕하세요. 개인적인 사정 때문에 업데이트 시기가 많이 늦어졌습니다. 추후 브런치를 같이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브런치에서는 좀 더 실용적인 지식을 나누도록 할 예정이며, 티스토리는 별도로 이론 부분에 집중해서 업로드할 예정이니 참조 부탁드립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회적경제 분야에 속하는 조직들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알아보고 이에 자발적 결사체들이 어떤 이해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내용은 워낙 방대한 내용인 관계로 주관적 해석에 근거에서 요약해서 공유 드리므로 일부 내용의 수정이 필요할 수 있는 점 유의 부탁드립니다. 사회적경제의 구성체 사회적경제 구성체는 유럽 기준에서는 크게 협동조합, 공제조합과 보험공제조합, 결사체 조직 및 재단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의 사회적경제는 일부 차이는 ..

사회적경제 2022.02.20

플랫폼 자본주의의 실태, 사회적경제는 대안이 될 수 있는가?

작년 카카오택시 골목상권 침해 논란이 발생하면서 자연스럽게 플랫폼 자본주의에 대한 관심도가 급격히 늘어났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플랫폼 자본주의란 무엇인지에 대한 내용에 이에 대해서 사회적경제가 대안이 될 수 있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플랫폼 자본주의 플랫폼 비즈니스는 사람들과 조직의 자원을 연결해서 만들어지는 새로운 형식의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대표적으로 구글, 아마존, 에어비엔비, 우버, 카카오 등이 이에 속하는데, 쉽게 표현하면 소비자와 생산자가 거래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모델을 뜻합니다. 2019년 기준으로 시가총액이 가장 큰 글로벌 플랫폼 기업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목할만한 비교 점은 10년 사이에 상위 10개의 기업 중에서..

사회적경제 2022.01.30

프랑스, 이탈리아, 퀘백 사례로 본 사회적경제 법률 비교

오랜만에 올립니다. 이번 파트에서는 국가별 사회적경제 법률에 대해서 간단히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번 블로그 내용은 한국법제연구원에서 나온 ‘주요국의 협동조합 관련 법 체계 연구’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으니, 관심 있는 분들께서는 해당 논문을 다시 한번 살펴보시면 될 듯합니다. 해외의 사회적경제 법률을 알아보기에 앞서 국내 법률의 현황을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사회적경제 관련 법률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제정했다 보니, 통합되지 못하고 생겼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다수 부처에서 다양한 근거를 기반으로 관리 및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주요 관련 법률을 살펴보면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 ‘2011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2012년 협동조합기본법’ 그리고 ‘2017년 국..

사회적경제 2022.01.25

사회적경제의 모범국 캐나다, 퀘백주 사례를 알아보자

해외의 성공적으로 사회적경제가 자리 잡은 사례로는 스페인의 몬드라곤, 이탈리아 볼로냐 그리고 캐나다 퀘백이 손꼽힙니다. 이번에는 캐나다 퀘백사례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캐나다 퀘백에는 현재 3,000개 이상의 협동조합이 있고 창출되는 매출은 약 17조 원에 이릅니다. 경제 규모로 퀘백주 GDP의 8%를 차지하고 있으며, 사회적경제 부문에서만 25,000명의 고용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즉, 사회적경제 분야가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든 상태입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정부의 정책과 시민단체 및 협동조합이 잘 조화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성공 요인으로 언급되는 이유입니다. 그럼 캐나다 퀘백이 성공사례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2013년 충남발전연구..

사회적경제 2022.01.11